“몇개까지 파세요?” 중국인 감기약 ‘싹쓸이’, 한국 비상

중국 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현지의 감기약·해열제 대란 우려가 커지자 한국에서 의약품을 대거 확보에 중국으로 보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약국에는 중국인들이 찾아와 해열제 수백만원어치를 싹쓸이해 갔으며, 한국에 있는 지인을 통해 ‘한국 타이레놀’을 구했다는 소셜미디어 ‘인증샷’까지 등장했다. 경기 평택당진항 인근에서 약국을 운영 중인 약사는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주부터 어떤 사람이 중국에 보낸다며 타이레놀과 부루펜 등을 반복해 대량으로 사 갔다”며 “한 번 올 때마다 감기약 30여통을 구매했다”고 전했...
중국 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현지의 감기약·해열제 대란 우려가 커지자 한국에서 의약품을 대거 확보에 중국으로 보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약국에는 중국인들이 찾아와 해열제 수백만원어치를 싹쓸이해 갔으며, 한국에 있는 지인을 통해 ‘한국 타이레놀’을 구했다는 소셜미디어 ‘인증샷’까지 등장했다.
경기 평택당진항 인근에서 약국을 운영 중인 약사는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주부터 어떤 사람이 중국에 보낸다며 타이레놀과 부루펜 등을 반복해 대량으로 사 갔다”며 “한 번 올 때마다 감기약 30여통을 구매했다”고 전했다.
서울 종로구에 있는 한 대형약국에도 최근 30대로 보이는 중국인 남녀가 찾아와 타이레놀과 테라플루의 대량 구매 가격을 문의했다고 한다. 약국 관계자는 “대량으로 구입하면 가격이 얼마나 더 저렴한지, 구매할 수 있는 최대 양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물었다”며 “‘우리는 대량으로 사도 할인해줄 수 없고, 약을 모두 가져갈 만큼 많이 파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했더니 그냥 돌아갔다”고 전했다.
중국 내 유통 목적이 의심되는 보따리상들의 대량 구매 외에도 현지 가족에게 보낼 상비약을 한국에서 구매하는 중국인들도 늘고 있다. 한 중국인 유학생은 타이레놀 20여통이 담긴 택배상자 사진을 SNS에 올렸다. 편의점 여러 곳을 돌면서 약을 사 모은 뒤 중국으로 택배를 보냈다는 것이다. 다른 유학생은 “상하이에 계신 어머니가 해열제를 구하지 못한다고 해서 한국에 있는 ‘판콜A’와 진통제 계열 ‘애드빌’ ‘타이레놀’ 등 10여통의 의약품을 보내드렸다”는 글을 사진과 함께 게재했다.
중국으로의 코로나19 상비약 반입을 위해 통관 노하우를 공유하기도 한다. 배송박스 품목에 약품이라고 표시하면 중국으로의 반입이 어렵기 때문에 다른 짐과 섞어 보내라는 등의 조언도 이어진다. 국내 중국 동포들이 이용하는 인터넷 맘카페에는 “중국에 타이레놀, 부루펜 계열 약을 보내려면 주소를 나눠서 10개씩 보내라”라는 글도 올라왔다.
또
“우체국 국제특급우편을 통해서는 타이레놀 배송이 어려우니 다른 택배에 약을 같이 소량 포함시켜야 한다”거나 “타이레놀을 배송해주는 업체가 있다”
등의 정보도 교환된다.
아예 중국으로 입국하는 사람을 통해 인편으로 약을 전달하려는 경우도 있다. 한 중국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의약품을 대신 들고 중국에 입국한 뒤 원하는 지역에 택배를 보내주겠다”며 사례금을 요구하는 글도 적혔다.
대한약사회는 29일 입장문을 내고 “감기약 대량 판매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징계를 요구하고 관계기관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8일 “중국 내에 코로나가 퍼지더라도 감기약 등 국내 물자 수급과 방역 관리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같은 날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공문을 보내 소속 회원과 관련 업체 등에 감기약 과량 판매 근절을 요청했다.